img_logo.png

  • 로그인
  • HOME
  • 인사말
  • 심포지엄 안내
    • KOR
  • 참가신청
  • 미디어
    • 뉴스
    • 현장사진
  • 지난행사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지난행사

2022 한반도평화 심포지엄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2018HOME > 지난행사 > 2018

  • 프로그램
  • 연사

행사 개요

행사명 2018 한반도평화 심포지엄
주 제 평화, 그문을 열다… 비핵화 넘어 공영의 시대로
일 시 2018년 6월 29일(금) 13:00~17:00
장 소 롯데호텔서울 크리스탈볼룸
주 최 연합뉴스, 통일부, 연합뉴스 동북아센터
후 원 기획재정부, 외교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연구원, 연합뉴스TV


프로그램

시 간 프 로 그 램
13:00~13:50 개 회 식
기조 연설 조명균 통일부 장관
휴식
14:00~14:30 특별 강연 임동원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前통일부 장관)
세션1. 정전 65년...비핵화와 평화체제
14:30~15:40 사회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前통일부 장관)
토론 발표1 김연철 통일연구원 원장
발표2 백학순 세종연구소 소장
패널 김준형 한동대학교 교수
김용현 동국대학교 교수
휴식
세션2. 한반도 신경제구상…남북이 함께 여는 동북아시대
15:50~17:00 사회 이관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소장(前통일부 차관)
토론 발표1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표2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패널 김효진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상무
정봉호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 국제협력팀장
  • 프로그램
  • 연사

연사




  • 개회사 조성부 연합뉴스 대표이사 사장
  • 기조 연설 조명균 통일부 장관
  • 특별 강연 임동원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
    (前 통일부장관)
Session 1. 정전 65년...비핵화와 평화체제
  • [사회]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前 통일부장관)
  • [발표/패널] 김연철 통일연구원 원장
  • [발표/패널] 백학순 세종연구소 소장
  • [패널] 김준형 한동대학교 교수
  • [패널] 김용현 동국대학교 교수
Session 2. 한반도 신경제구상…남북이 함께 여는 동북아시대
  • [사회] 이관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소장
    (前 통일부 차관)
  • [발표/패널]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발표/패널]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패널] 김효진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상무
  • [패널] 정봉호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 국제협력팀장
조성부 연합뉴스 대표이사 사장
[주요경력]
[주요저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
[주요경력]
[주요저서]
임동원 한반도평화포럼 명예이사장(前 통일부 장관)
[주요경력]
  • 現 서울특별시 남북교류협력위원장
  • 육군사관학교 교수
  • 육군 전략기획처장
  • 육군소장 예편
  • 주 나이지리아대사
  • 주 호주대사
  • 외교안보연구원장
  • 통일원차관
  • 남북고위급회담 대표
  • 남북교류협력위원회 남측 위원장
  • 대통령 외교안보수석비서관
  • 통일부장관
  • 국가정보원장
  •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
[주요저서]
  • 임동원 회고록 피스메이커 남북관계와 북핵문제 25년
이종석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前 통일부 장관)
[주요경력]
  • 베이징대학교 초빙교수(2017)
  • 통일부장관(2006)
  •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2003∼2005)
  •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2001∼2002)
  •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2000)
김연철 통일연구원 원장
[주요경력]
  • 인제대 통일학부 교수(2010~현재)
  • 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2004~2005)
  • 삼성경제연구소 북한연구팀 수석연구원(1997~2002)
[주요저서]
  • 협상의 전략
  • 냉전의 추억
  •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 새로 쓰는 남북관계사
[세션1 발표] 비핵화와 평화체제: 병행적 접근

2018년 남북‧북미 정상회담은 과거와 다르다. 우선 합의만큼 이행이 중요하며, 신뢰구축이 비핵화를 가속화 한다는 점에 남‧북‧미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비핵화에 대한 패러다임이 선핵 폐기론에서 포괄평행 해결론으로 전환되었다. 남북이 모두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말자는 교훈으로 비핵화의 속도를 중시하고 있다.

비핵화는 관계 정상화와 동시적‧병행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영변에 협력적 위협감소 사업을 수행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법적인 평화가 아니라 사실상의 평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종전 선언, 평화협정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사실상의 평화를 위해서는 남북한의 군사적 신뢰 구축, 특히 비무장지대의 평화 지대화와 서해 평화협력이 필요하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소장
[주요경력]
  •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위원
  • 통일부 자체평가위원장
  • 외교통상부 정책자문위원
  • 국회통일외교통상위원회 자문위원
  • 김대중 평화센터 정책자문위원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
  • 서울-워싱턴포럼 사무총장
[주요저서]
  • 북한 권력의 역사: 사상·정체성·구조
  • 박근혜정부의 대북·통일정책: 역대 남한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비교
  • 김정은의 외교·안보·통일 리더십
  • 김정은 시대의 북한정치 2012~2014: 사상·정체성·구조
  • 제2기 오마바정부 시기의 북미관계 2013~2014: 핵무기 사용 위협’과 관계의 파탄
김준형 한동대학교 교수
[주요경력]
  • 대통령직속정책기획위원회 외교안보분과위원
  • 청와대 안보실 자문위원
  • 외교부정책실 자문위원
  • 통일부 혁신위원회 자문위원
  • 정책실 자문위원
  • 한반도평화포럼 외교연구센터장
  • 미국 Fullbright 교환교수
  • 주요 신문 칼럼 기재
  • 주요 방송매체 국제정치현안 해설
[주요저서]
  • 전쟁하는 인간
  • 국제정치: 역사와 관점을 넘어 쟁점까지
  • 미국이 세계 최강이 아니라면
김용현 동국대학교 교수
[주요경력]
  • 現 2018 남북정상회담 자문단(2018~현재)
  • 現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위원(2017~현재)
  • 現 평화번영분과 남북관계통일 소분과위원장
  • 現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 위원(2017~현재)
  • 現 서울시 남북교류협력위원회 위원(2017~현재)
  • 現 한국국제정치학회 기획이사(2017~현재)
  • 現 북한연구학회 부회장(2016~현재)
  • 국방부 국방개혁자문위원회 위원, 간사(2017~2018)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 외교안보분과(2017)
  •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학부장(2015~2017)
  •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SAIS 방문학자(2012)
  • 동국대학교 동국미디어센터장(2009~2010)
이관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소장
[주요경력]
  • 통일부 대변인
  • 정보분석국장
  • 통일정책실장
  • 남북회담본부장
  • 통일부 차관
  • 남북장관급회담 대표
  • 제2차 남북정상회담 준비접촉 수석대표
  • 남북총리회담 예비접촉 수석대표
  • 개성공업지구 지원재단 자문위원장
임강택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주요경력]
  • 現 민주평통 상임위원
  • 現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전문가 자문단
  • 現 통일부 정책혁신위원회 전문가 자문단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장(2013~2018)
  •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전문위원
[세션2 발표] 한반도신경제구상 비전과 과제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한반도 신경제구상은 북한이 비핵화의 과정을 이행해 나가면 북한경제의 발전을 위한 지원과 협력을 제공하겠다는 의지와 비전을 담고 있다. 한반도 신경제구상이 실현되면 남북은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되고 한반도 경제권을 넘어 북방대륙으로 진출하며 동북아지역의 경제공동체 형성을 견인하게 될 것이다.

한반도 신경제구상이 지향하는 것은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북한경제의 발전과 변화를 견인하며, 동북아지역의 평화로운 공동번영을 정착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북한과 경제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협력모델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내외 공감대를 형성하고 추진 역량을 강화하며,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데 있어서 부담과 위험을 분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주요경력]
  • 現 청와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
  • 現 북방경제협력위원회 민간위원
  • 現 통일부 교류협력분과 정책자문위원장
  • 現 남북관계발전위원회 민간위원
  • 現 북한경제포럼 회장
  • UN ESCAP 국가전문가
  • 한국교통연구원 유라시아북한인프라연구소장
김효진 삼정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상무
[주요경력]
  • 한국기업평가(주) 사업가치평가본부 Energy & Infrastructure 실장
  • 국내외 인프라시설 신규 투자 및 거래 관련 자문서비스 제공
  • 한국플랜트산업협회 자문위원
  • 해외항만개발협력지원센터 자문위원
정봉호 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협력실 국제협력팀장
[주요경력]
  • 전국경제인연합회 통일경제위원회 실무책임자(2014)
  • 관련기업 남북경제관계 전망에 관한 긴급 설문조사 실시
  • 한반도 신경제비전 세미나 기획 및 개최
주최      |

후원      |
기획재정부, 외교부, 국방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연합뉴스TV
  • 회사소개
  • 한민족센터
  • 연합뉴스 북한포털
  • 연합 MIDAS
  • 연합뉴스TV
  • 연합연감
Copyright ⓒ Yonhapnews. All rights reserved.* 문의 : onekorea@yna.co.kr